알뜰교통카드는 서민의 대중교통비를 절약하고 보행이나 자전거 등 친환경 교통수단을 많이 사용하도록 하기 위해, 이용한 만큼 마일리지로 적립해 주고 다음 달에 적립액으로 돌려주는 교통카드입니다.
알뜰교통카드의 혜택 및 적립액, 사용방법, 적립기준, 적립방법 그리고 신청방법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알뜰교통카드 혜택 및 적립액
알뜰교통카드를 사용하여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 이동한 거리만큼을 마일리지로 적립해 주고 다음 달에 적립금으로 돌려받는 제도입니다.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 이동한 거리는 출발한 곳에서부터 대중교통 이용을 시작하는 지점까지의 거리 그리고 대중교통에서 내려서 도착하는 곳까지의 거리를 합한 것을 말합니다.
알뜰교통카드를 잘 사용하면 쓰기만 해도 교통비의 최대 30%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
알뜰교통카드의 마일리지는 일반마일리지와 청년마일리지 그리고 저소득층을 위한 마일리지 적립기준이 조금 다릅니다. 2022년까지는 일반 마일리지만 있었으나 알뜰교통카드 플러스로 확대되어 청년과 저소득층은 더 많은 혜택을 받게 되었습니다.
대중교통 이용금액에 따른 마일리지 적립금액은 아래와 같습니다.
대중교통 이용금액 | 2천원 미만 | 2~3천원 | 3천원 이상 | 비고 |
일반마일리지 | 250원 | 350원 | 450원 | 이동거리는 800m 기준이며 800m 미만은 거리에 비례하여 지급 |
청년마일리지 (만 19~34세) |
350원 | 500원 | 650원 | |
저소득층 마일리지 | 700원 | 900원 | 1100원 |
단 이동거리 확인이 안되는 경우에는 최소 마일리지인 50원이 지급됩니다.
알뜰교통카드 사용방법
알뜰교통카드를 사용하시려면 우선 알뜰교통카드를 발급해야 합니다. 카드 발급 후에는 알뜰교통카드 앱을 설치하고 회원가입을 합니다. 그리고 대중교통 이용 시에 알뜰교통카드를 사용하고 마일리지를 산정하면 됩니다.
알뜰교통카드 발급. 신청방법과 마일리지 적립방법은 아래에 다시 자세히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알뜰교통카드 발급, 신청방법
알뜰교통카드로 이용가능한 카드는 총 11개사입니다. 기존에는 신한카드, 우리카드, 하나카드, 로카 모바일캐시비, DGB 원패스, 티머니카드 6개 사가 가능했고 2023년에는 국민, 농협, 비씨, 삼성, 현대카드가 추가되었습니다.
카드사 별 혜택이 궁금하시다면 별도로 정리해 놓은 것을 보시면 좋겠습니다. 아래 링크로 들어가시면 카드사별 혜택을 간단하게 비교하고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알뜰교통카드 카드별 혜택 비교, 나에게 맞는 카드를 찾아보세요
대중교통을 이용한 만큼 마일리지를 적립하고 적립액으로 돌려주는 알뜰교통카드, 가능한 빨리 신청하시고 이용금액의 최대 30%까지 돌려받으시기 바랍니다. 알뜰교통카드는 총 11개 카드사에
info-for-all.tistory.com
알뜰교통카드의 신청은 카드사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발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카드사의 알뜰교통카드 신청 페이지로 넘어가시려면 아래 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를 통해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 링크로 들어가시면 각 카드사별 혜택도 직접 자세히 알아보시면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알뜰교통카드의 적립기준
알뜰교통카드의 적립기준은 대중교통 1회 이용할 때 800m까지 자동으로 적립됩니다.
적립이 되는 대중교통은
- 버스로는 노선버스인 마을버스, 시내버스, 광역버스가 대상입니다. 시외버스와 고속버스는 제외됩니다.
- 도시철도는 수도권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철도가 되며 경전철도 포함됩니다.
- 여객철도로는 광역철도는 가능하고 KTX, 새마을호, 무궁화호 등의 일반철도는 제외됩니다.
알뜰교통카드의 마일리지의 적립은 월 15회 이상 최대 60회 이용한 것까지 적립됩니다. 월 15회 미만으로 사용했다면 아깝지만 그 달은 마일리지가 소멸되어 없어집니다. 반대로 61회 이상을 탔다면 적립액이 높은 순으로 60회까지만 적립되어 다음 달에 받을 수 있게 됩니다. 다만 첫 달에는 15회가 되지 않더라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알뜰교통카드 적립방법
알뜰교통카드의 마일리지 적립을 위해서 이동거리를 확인하는 방법은 3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출발하는 곳에서는 출발 버튼을 도착하는 지점에서는 도착버튼을 눌러 좌표와 정류장까지의 거리를 계산합니다.
두 번째는 자주 이용하는 출발지와 도착지 그리고 정류장을 미리 등록해 놓아 거리를 계산해 둡니다. 등록하려는 정류장이 없다면 근처 정류장을 등록해도 됩니다. 이동거리에 대해 적립을 받으려면 승차와 하차가 모두 등록되어야 합니다.
세 번째로는 휴대폰으로 걸음수를 측정하여 승차와 하차시간 기준으로 이동거리를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이때 한 걸음당 60cm 기준으로 적립이 되며 대중교통을 이용한 시간 외의 걸음수는 마일리지 적립에 반영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환승 구간에서의 걸음수도 적립되지 않습니다.
모든 마일리지 적립은 휴대폰 앱을 통해서 이루어집니다. 해당 앱을 깔고 직접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아래 링크로 가시면 바로 알뜰교통카드 앱을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알뜰교통카드 추가적립
알뜰교통카드는 환경의 날, 미세먼지주의보 발령일에는 마일리지를 2배로 적립해 드립니다. 이런 날에는 꼭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알뜰교통카드 적립액에서 확인하신 바와 같이 만 19~34세 청년의 경우 그리고 저소득층의 경우는 추가 마일리지도 적립됩니다.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이용한 만큼 다시 적립금을 받는 알뜰교통카드, 알뜰하게 이용하시고 혜택을 가져가시기 바랍니다.
'생활경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내일저축계좌 2023 지원대상 및 조건, 혜택, 신청방법, 신청기간 알아보기 (0) | 2023.07.29 |
---|---|
알뜰교통카드 신청, 카드별 혜택 비교, 나에게 맞는 카드를 찾아보세요 (0) | 2023.07.28 |
청년내일채움공제 중도해지자 재가입 방법 알아보기 (0) | 2023.07.26 |
청년내일채움공제 지원대상, 조건, 지원내용, 납입방법, 신청방법 알아보기 (0) | 2023.07.26 |
청년도약계좌 지원대상, 혜택, 취급은행, 금리, 신청방법 알아보기 (0) | 2023.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