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경제 정보

국민행복카드, 모든 바우처를 카드 한장에, 지원내용, 신청방법, 이용방법 알아보기

by blush.crush 2023. 7. 30.

국민행복카드는 정부에서 지원하는 모든 바우처를 카드 한 장에 넣어서 카드로 결제하듯이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카드입니다.

 

국민행복카드 모든바우처를 카드한장에 썸네일

 

국민행복카드와 바우처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국민행복카드로 가능한 바우처의 종류와 신청방법, 이용방법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국민행복카드, 국가 바우처란

국가 바우처는 국가에서 지원하고 있는 사업들을 사용할 수 있도록 이용권을 주는 것을 말합니다. 사실상 사용할 수 있는 현금인 이용권을 국민행복카드에 넣어주고 국민행복카드를 사용하여 카드 결제하듯이 그 이용권을 사용하면 됩니다. 

 

현재는 총 17 가지의 바우처가 국민행복카드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앞으로도 계속 추가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국민행복카드 바우처 지원내용

국민행복카드로 가능한 바우처는 건강보험 임신·출산 진료비지원, 사회서비스사업 9가지(노인돌봄종합서비스, 장애인활동지원사업 등), 기저귀·조제분유 지원, 에너지바우처 지원, 아이돌봄서비스지원, 보육료 지원, 유아학비 지원, 청소년산모 임신·출산 의료비 지원, 여성청소년 생리대바우처 지원, 첫만남이용권 등입니다.

 

물론 각 바우처별로 지원하는 서비스가 다르기 때문에 지원대상, 지원내용, 신청방법이 다릅니다. 아래에 간단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국민행복카드 신청방법

국민행복카드는 카드사의 영업점을 방문하여 신청하거나 온라인 신청, 전화신청이 가능합니다. 지원하는 바우처 별로 약간의 신청방법이 다르니 이는 바우처별로 별도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그리고 국민행복카드는 신용카드, 체크카드, 전용카드의 3가지 종류로 발급이 가능합니다. 신용카드는 각 카드사별로 자격심사를 통해 발급이 가능하고, 체크카드는 만 14세 이상 본인 이름으로 된 계좌가 있어야 합니다. 전용카드는 신용카드나 체크카드의 발급이 어려운 사람에게 만들어주는 카드로, 바우처만 사용할 수 있는 전용카드로 입니다. 전용카드는 BC카드, 롯데카드, 삼성카드, 국민카드, 신한카드에서 가능합니다.

 

국민행복카드를 한번 만들었다면 다른 바우처 서비스를 추가로 이용하려고 할 때 따로 만들지 않고 하나의 카드로 모두 이용할 수  있습니다. 물론 지원하는 서비스 별로 사용할 수 있는 곳이 다르니 이 점은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건강보험 임신·출산진료비 지원

- 지원대상 : 임신확인서로 임신이 확진된 건강보험 가입자 또는 피부양자 중 임신· 출산 진료비 지원신청자

- 지원내용 : 임신 1회당 60만원 지원, 쌍둥이 등 다태아의 경우는 100만원 지원

- 신청방법 : BC/삼성카드를 통한 온라인 신청 또는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사를 방문하거나 카드 영업점을 방문하여 신청

 

 

사회서비스사업 9종

- 지원대상 : 노인, 장애인이 있는 가정 등에 대한 서비스 별로 지원대상이 달라서 별도로 확인이 필요함

- 지원내용 : 사회서비스 중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의 경우는 368,000원부터 최대 4,832,000원 지원

- 신청방법 :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의 경우는 복지로 사이트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하거나 산모의 주민등록주소가 있는 보건소에 방문하여 신청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는 복지로 사이트는 아래와 같습니다. 아래로 연결하시면 바로 사이트로 들어가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다른 지원도 복지로 사이트에서 신청을 하시라면 이 링크를 이용하세요. 

 

복지로 사이트 다양한 바우처 신청하러 가기

 

구체적인 사회서비스 사업 9종은 여기에 담기에는 좀 분량이 많아서 별도의 포스팅으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기저귀·조제분유 지원

- 지원대상 : 기저귀의 경우는 만 2세 미만의 아이를 둔 기초생활보장, 차상위계층, 한부모가족 등을 대상으로 아이별로 지원, 조제분유의 경우는 모유수유가 불가능하다고 의사가 판단하는 아동복지시설, 공동생활가정, 가정위탁보호, 입양대상 아동, 한부모가정 등의 경우에 지원

- 지원내용 : 기저귀의 경우는 월 64,000원, 기저귀와 조제분유를 동시에 지원하는 경우는 월 150,000원 지원

- 신청방법 : 복지로에서 온라인으로 신청 또는 아이의 주민등록 주소의 보건소에 방문하여 신청

 

 

에너지바우처 지원

- 지원대상 : 생계급여 또는 의료급여 수급자로서 노인, 영유아, 장애인, 임산부, 중증·희귀·중증난치 질환자, 한부모가족, 소년소녀가정 등

- 지원내용 : 1인가구는 96,500원, 2인가구는 136,500원, 3인가구는 170,500원, 4인 가구 이상은 191,0002원을 지원

- 신청방법 : 복지로를 통한 온라인 신청 또는 주민센터를 방문하여 신청

 

에너지바우처가 무엇인지는 별도의 포스팅으로 자세히 설명해 두었습니다. 에너지바우처에 대해 좀 더 알고 싶으시다면 아래 포스팅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에너지바우처 지원대상, 지원금액, 신청방법, 신청기간, 사용방법, 사용기간 알아보기

에너지바우처는 대한민국 국민 모두 시원한 여름과 따뜻한 겨울을 보낼 수 있도록 가정을 시원하게 그리고 따뜻하게 할 수 있는 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는 이용권, 지원금을 지원하는 제도입니

info-for-all.tistory.com

 

아이돌봄서비스 지원

- 지원대상 : 중위소득 150% 이하이면서 아이를 키우기에 어려움이 있는 가정, 여기서 아이를 키우기에 어려운 가정이란 취업한 부모, 맞벌이 가정, 다자녀 가정 등입니다.

- 지원내용 : 소득에 따라서 시간당 1,506~8,534원 지원, 영아종일제 지원과 시간당 지원에는 차이가 있음

- 신청방법 : 정부지원신청은 복지로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하거나 주민센터에 방문하여 신청하고 그 이후에 아이돌봄서비스는 아이돌봄 홈페이지에서 신청서를 작성하여 신청

 

 

보육료 지원

- 지원대상 :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만 0~5세

- 지원내용 : 보육료 240,000원 ~ 726,000원까지 지원

- 신청방법 : 복지로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하거나 주민센터에 방문하여 신청

 

 

유아학비 지원

- 지원대상 : 국·공립·사립유치원에 다니는 만 3~5세 아이

- 지원내용 : 국·공립 유치원은 월 80,000원, 사립유치원은 월 260,000원을 지원하고 저소득층 유아학비는 월 최대 10만원을 추가로 지원

- 신청방법 : 복지로를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거나 주민센터에 방문하여 신청

 

 

청소년산모 임신·출산 의료비 지원

- 지원대상 : 만 19세 이하의 산모로 청소년산모 임신·출산 의료비 지원을 신청한 사람

- 지원내용 : 임신 1회당 120만원 범위 내로 산부인과 병,의원에서 임신 출산과 관련하여 진료를 받은 의료비를 지원

- 신청방법 :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포털을 이용한 온라인 신청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신청하러 가기

 

여성청소년 생리대 바우처 지원

- 지원대상 :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수급자, 법정차상위계층, 한부모가족 지원대상자에 해당하는 만 11~18세 여성청소년

- 지원내용 : 생리대 구매비용으로 1년에 최대 138,000원 지원

- 신청방법 : 복지로를 통한 온라인 신청 또는 주민센터에 방문하여 신청

 

 

설명드린 바와 같이 임신부터 보육료, 사회서비스까지 다양한 국가지원이 바우처의 형태인 국민행복카드 하나로 가능합니다. 나에게 맞는 맞춤정책을 찾아 바로 신청하고 카드 한 장으로 편안하게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